Christine Oh Solo Exhibition <Patchwork Picket Fence and other studio notes>
Dates|November 22 – 30, 2025
Opening Hours|
▪️Wed – Mon, 11am – 7pm
▪️Closed on Tuesday
Opening Hours|
▪️Wed – Mon, 11am – 7pm
▪️Closed on Tuesday
Special Closing Event|4PM, Sunday, November 30
오가람 개인전 <조각보 울타리, 그리고 작업 노트들>
전시기간|2025년 11월 22일 – 11월 30일
관람시간|
▪️ 수요일 – 월요일 오전 11시 – 7시
▪️ 화요일 휴무
관람시간|
▪️ 수요일 – 월요일 오전 11시 – 7시
▪️ 화요일 휴무
클로징 행사 | 11월 30일 일요일 오후4시
The white picket fence has long symbolized stability, success and the promise of a secure future. Growing up in an ever-moving household, this was my earliest and most sincere dream of home.
American novelist and playwright James Baldwin writes, “The place in which I’ll fit will not exist until I make it.” Home, I’ve come to understand, is not a place to return to, but a structure we assemble. It is an inheritance made of stories—passed down, misremembered, reinterpreted, or remade. Similarly, the concept of a “hometown” becomes a kind of horizon: always visible, never entirely reachable. What remains is the longing itself—the generative space where imagination begins to build a home of its own.
This inquiry has materialized into a patchwork of fragments. The exhibition gathers archival family photographs, images of my childhood hometown, and key geographic anchors—a view of Busan upon my arrival in 2016, and the mountains of Geoje, where my mother’s family is rooted and my great-grandmother is buried. These visual landmarks are juxtaposed with prints and studio notes documenting my ongoing attempt to understand what home means when one’s history is shaped by movement, rupture, and reinvention.
Printmaking — specifically cyanotype and monotype — became a natural language for this inquiry. The process mirrors the complex nature of memory. Prussian blue, the color of the cyanotype, has been described as carrying its own sense of longing. Rebecca Solnit writes that Prussian blue was traditionally used by painters to depict faraway places along the horizon. The cyanotypes fix the shadow of light from the past, while the monotypes embrace variation: each impression is unique, a new possibility. Memory behaves similarly—not as a perfect record, but as a series of distinct impressions, altered by desire, distance, and time.
These works are unfinished thoughts, stitched together like a patchwork fence or a piece of Jogakbo. They are fragments forming a whole without claiming completeness. Some threads connect tightly, others loosely. That openness is intentional. By leaving space in the seams, I invite you to bring your own stories, your own memories, and the homes you have left behind or created along the way.
흰색 울타리(white picket fence)는 오랫동안 안정, 성공, 그리고 미래의 안정을 상징해 왔습니다. 끊임없이 이사 다니며 성장한 저에게 그것은 가장 처음이자 간절한 '집'에 대한 꿈이었습니다.
미국의 소설가이자 극작가인 제임스 볼드윈(James Baldwin)는 이렇게 말합니다. "내가 들어맞을 장소는 내가 직접 만들 때까지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저에게 '집'이란 되돌아가는 장소가 아니라, 스스로 조립하는 구조물에 가깝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전해지고, 잊혀지고, 다시 해석되거나 새롭게 만들어지는 이야기들로 이루어진 유산이기도 합니다. 같은 맥락에서, '고향'이라는 개념은 하나의 지평선처럼—언제나 시야에 있지만 완전히 닿을 수 없는 장소로 존재합니다. 결국 남는 것은 그리움 자체이며, 그 그리움 속에서 상상력은 제 나름의 집을 짓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질문들이 여러 조각들의 패치워크로 구체화되었습니다. 전시는 저의 가족 사진들, 어린 시절 살았던 고향의 이미지, 그리고 제 삶의 주요한 지리적 지점들을 함께 모읍니다—2016년 한국에 도착해 비행기에서 처음 바라본 부산의 풍경, 그리고 외가가 뿌리내린 곳이자 증조할머니가 잠들어 계신 거제의 산들. 이러한 시각적 지표들은 판화 작업과 작업 노트와 나란히 놓이며, 이동과 단절, 그리고 재구성이 반복되어온 제 역사 속에서 ‘집’의 의미를 다시 탐색하려는 과정을 기록합니다.
특히 시아노타입과 모노타입은 이러한 탐구를 표현하는 자연스러운 언어가 되었습니다. 두 판화 과정은 기억의 복잡한 작동 방식과 닮아 있습니다. 시아노타입의 색인 프러시안 블루는 ‘그리움의 색’으로 불려왔습니다. 작가 레베카 솔닛은 이 색이 전통적으로 화가들이 지평선 너머의 먼 장소를 그릴 때 사용해온 색이라고 말합니다. 시아노타입은 과거의 빛이 남긴 그림자를 고정하는 작업이며, 모노타입은 인쇄될 때마다 달라지는 변주를 품습니다. 각각의 인상은 유일하며 새로운 가능성입니다. 기억 또한 완벽한 기록이 아니라—욕망과 거리,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고유한 인상들의 연속입니다.
전시 속 작업들은 완결을 주장하지 않는, 연결되어 가는 생각의 조각들입니다. 조각보나 패치워크 울타리처럼 느슨하거나 단단하게 이어져 하나의 형태를 이루지만, 그 안에는 남겨진 공간이 있습니다. 그 여백은 의도된 것입니다. 그 틈 사이로 여러분의 이야기와 기억, 그리고 여러분이 떠나온 혹은 새로 만들어온 ‘집’의 이미지를 함께 겹쳐보시길 바랍니다.